Interesting,
Pioneering and Satisfying

 뉴스레터

제목 연구보고: 도시 경쟁력 평가 연구결과 발표
발간일 2006-12-29 첨부파일

산업정책연구원(IPS)은 도시의 미래경쟁력을 결정하는 원천요소를 발굴함으로써 도시의 지속발전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국내 75개 도시의 현재와 미래경쟁력을 비교•평가한 도시경쟁력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평가범위
IPS 도시경쟁력평가는 전국 7개 광역시와 68개 기초시를 대상으로, 5개 부문의 95개 지표별 통계자료 및 설문자료의 수집을 통해 수행되었다. 각 지표별 평가는 한국도시연감(행자부), 도시통계연감(한국행정연구원), 한국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등의 공식통계자료와 평가대상 도시의 일관성 있는 조사와 자료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행정자치부의 협조를 통해 진행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다.

평가체계
IPS 도시경쟁력평가 체계는 9-팩터 모델(9-Factor Model)의 경쟁력 결정 요인을 ser-M-P 모델에 따라 분류한 통합경쟁력분석모델에 근거하고 있으며 도시경쟁력을 도시의 현재경쟁력을 평가하는 현재경쟁력지수(City Competitiveness Index Now, CiCIN)와 미래의 도시경쟁력을 측정하는 미래경쟁력지수(City Competitiveness Index Future, CiCIF) 두 가지로 나누어 측정하고 있다.

도시의 현재경쟁력지수(CiCIN)는 특정도시의 지역소득수준, 지역산업활성화 정도, 해외교역성과, 삶의 질 수준을 평가하는 총 10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 도시가 보유하고 있는 현재의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목표로 하는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훌륭한 주체(Subject)’, ‘적절한 환경(Environment)’, ‘필요한 자원(Resource)’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해당 도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 프로세스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Mechanism)’ 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시의 미래경쟁력지수(CiCIF)는 주체(subject), 환경(Environment), 자원(Resource), 메커니즘(Mechanism) 총 4개 부문에 의해 평가되며 각 부문은 다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 - 주체(S) 부문: 도시발전에 대한 지역내 정치행정관료의 리더십 및 추진력, 지역주민과 기업의 발전 의지 및 역량을 총 14개 지표를 통해 평가하고 있으며,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 환경(E) 부문: 기업이 경영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기반시설 및 경영환경인프라, 도시민을 위한 기초생활여건, 교육 및 문화 여가시설 여건을 총 43개 지표를 통해 평가하고 있으며,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 자원(R) 부문: 도시의 특정 역량을 개발하고 가치창출을 위해 투입되는 인적•물적 자원을 의미하여 부존자원, 재정자원, 인적자원으로 나누어 총 20개 지표를 통해 평가하고 있으며, 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 메커니즘(M) 부문: 특정 도시의 주체 역량, 도시를 둘러싼 환경 여건, 도시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특정 도시가 구축하고 있는 협력체계, 발전전략과 정책을 총 8개 지표를 통해 평가하고 있으며, 4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결과
국내 도시 중 미래경쟁력이 가장 높은 도시로는 광역시의 경우 대전이 1위를 차지하였으며, 서울과 울산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기초시의 경우에는 안양시가 1위를 차지했으며 군산시(2위), 구미시(3위), 과천시(4위) 등이 상위를 차지했다. 대전의 경우에는 메커니즘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국내 광역시 중 미래경쟁력이 가장 높은 광역시로 평가되었다. 기초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안양은 주체부문과 메커니즘 부문뿐만 아니라 자원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하면서 미래 경쟁력이 가장 높은 기초시로 선정됐다.

현재 도시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현재경쟁력 지수에서는 서울특별시가 울산(2위), 부산(3위)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기초시의 경우 과천시가 1위, 구미 2위, 안양 3위, 화성 4위가 그 뒤를 이었다. 서울특별시는 시민들의 높은 소득수준과 경제적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점에서 큰 점수를 얻었으며 과천시는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통한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의 의의
국가간 경쟁의 주체가 국가에서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변화함에 따라 지역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근원으로, 지역차원의 조직이 국가간 핵심 경쟁 단위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올해부터 진행된 IPS 도시경쟁력평가는 국내 도시들의 경쟁력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통해 도시간 경쟁력 강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정체돼 있는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임민영 선임연구원(myim@ips.or.kr)